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상세하고 완전하게 안내드립니다. 해당 상품은 청년의 자산 형성과 재무안정 지원을 목표로 하며, 비대면 절차 중심으로 효율적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 절차를 꼼꼼히 따라주세요.



1. 신청 준비


신청하기 전, 먼저 본인이 청년도약계좌 대상인지 확인합니다. 준비물이나 제출서류는 따로 필요 없습니다. 행정정보를 통해 연령, 소득, 가구원 정보 등이 자동으로 확인되기 때문입니다.


2. 매월 신청 기간 확인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지정된 기간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해당 은행 앱이나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해당 월 신청 시작일과 마감일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3월 신청자 → 4월 초 계좌 개설” 방식입니다.


3. 은행 앱 또는 영업점 접속


모바일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을 권장하지만, 비대면이 어려운 경우 은행 영업점 방문도 가능합니다. 주요 은행 앱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은행: KB스타뱅킹 앱
  • 신한은행: 신한 SOL 앱
  • 우리은행, 농협, 하나은행, 기업은행 등은 각 은행 모바일뱅킹 앱

앱 내에서 ‘청년도약계좌’ 메뉴 또는 ‘적금상품 → 청년도약계좌’ 항목을 찾아 신청을 시작합니다.


4. 신청서 작성 및 본인 인증


앱에서 신청을 하면, 본인 인증 절차(휴대폰 인증, 금융인증서 등)를 거칩니다. 이후 납입 희망 금액과 방식을 입력하고 약관에 동의하면 신청이 접수됩니다.


5. 자격 심사


신청 접수 후에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자동으로 자격 요건(연령, 소득, 가구원, 금융소득 여부 등)을 행정정보를 통해 심사합니다. 이 과정은 약 2주 정도 소요됩니다.


6. 가입 가능 여부 통보


심사가 완료되면, 앱 알림이나 문자 메시지로 가입 가능 여부를 알려줍니다. 승인된 경우에만 계좌 개설이 가능하니 반드시 해당 내용을 확인하세요.


7. 계좌 개설 및 납입 시작


가입 가능 통보를 받으면, 앱에서 다시 청년도약계좌 메뉴로 접근해 계좌를 개설합니다. 계좌개설은 앱 또는 은행 영업점에서 모두 가능하며, 이후 자유롭게 월별 납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8. 첫 납입 방법 안내


계좌 개설 후 즉시 납입이 가능하며, 자동이체 설정도 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납입 금액은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연간 최대 84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합니다.



신청 흐름 요약


단계내용
1은행 앱 또는 영업점 접속
2청년도약계좌 메뉴 선택 후 신청
3본인 인증 및 납입 방식 입력
4서민금융진흥원에서 자동 자격 심사 (약 2주 소요)
5가입 가능 여부 통보
6앱 또는 영업점에서 계좌 개설
7첫 납입 및 납입계획 설정


청년도약계좌 조건확인하기

모든 과정이 전산 및 행정정보 연동으로 이루어져 있어, 복잡한 서류 제출 없이 단순하고 빠르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신청 가능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매월 초 반드시 확인하고, 은행 앱 알림을 꼭 확인해 주세요.

다음 이전